
oneM2M의 워킹 그룹들로 인해 생겨난 oneM2M의 초창기 모델들을 확인해 보도록 합시다.
#oneM2M Release1
Release1 에서는 oneM2M 플랫폼이 제공하는 기능을 공통 서비스 기능 (CSF:Common Service Function)으로 정의함.
공통 서비스 기능은 IOT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정의한 것으로 데이터 저장/공유, 장치 관리,
그룹 관리, 구독/통지, 위치 정보, 과금 등의 기능을 포함하여 보안 기능은 기본적인 인증, 접근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
또 onM2M의 프로토콜 메시지는 CoAP, HTTP, MQTT 프로토콜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고 특정 프로토콜 메시지에
종속성을 가지지 않도록 Protocol binding을 지원하도록 하였다.
#oneM2M Release2
Release2 에서는 1에 이어 다양한 Industry IoT 플랫폼 및 네트워크 연동이 주목적이다.
IoT 연동으로는 AllJoyn, OCF, Light Weight M2M 기술과의 연동 규격을 제공한다.
네트워크 연동으로는 3GPP Rel-13 네트워크와 연동을 위한 트래픽 패턴 설정(Traffic pattern Configuration) 기능을
정의하고 있으며 Release 3에 모니터링 등의 연동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기술 보고서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.
프로토콜 바인딩은 동시 송수신(Full-Duplex)을 지원하는 Web Socket이 추가되었다.
Reference. IoT 오픈 플랫폼 기반 제품 서비스 개발을 위한 IoT와 oneM2M의 이해
'IT Study > I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OT] 4.oneM2M Architecture Aspects (0) | 2019.09.17 |
---|---|
[IOT] 3.oneM2M Architecture Model (0) | 2019.09.17 |
[IOT] 1.IOT와 oneM2M의 이해 (0) | 2019.09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