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 카이조쿠BM 입니다.
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서 간단하게 맛보았던 Geth 실행 명령과 옵션들에 대하여 알아봅시다.
Geth를 실행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.
첫 번째로는 Forground로 실행하는 방법과
두 번째는 외부에서 RPC를 이용해 명령어를 전달하기 위한 Background 방식이 있습니다.
오늘은 Forground에 대한 설명을 하고 추후에 RPC와 같이 Background 방식도 알아볼게요.
1. Geth Forground로 실행
>geth --networkid 4649 --nodiscover --maxpeers 0 --datadir /home/lbm/data_testnet console 2>> /home/lbm/data_testnet/geth.log
--networkid 4649 : 네트워크 식별자, 저는 4649라고 했네요
--nodiscover : 생성자의 노드를 다른 노드에서 검색할 수 없게 하는 옵션
--maxpeers 0 : 생성자의 노드에 연결할 수 있는 노드의 수를 지정. 0을 지정하 면 다른 노드와 연결하지 않는다.
--datadir /home/lbm/data_testnet/geth : 데이터 디렉터리를 지정한다.
consol : 대화형 자바스크립트 콘솔을 기동 한다.
2 >> /home/lbm/data_testnet/geth.log : 로그 파일을 만들 때 사용할 옵션으로 에러를 해당 경로의 파일에 저장한다. |
이외에도 많은 옵션들이 존재하는데 밑의 내용을 참고하세요 ~!!
--mine : 채굴 활성화
--rpc : HTTP-RPC 서버를 활성화하고, 별도의 콘솔을 연결할 때 필요한 옵션
--nodiscover : 생성자의 노드를 다른 노드에서 검색할 수 없게 하는 옵션
--maxpeers : 피어를 연결할 최대 허용치
--datadir : Chaindata와 Keystore 등 데이터를 저장할 위치
--console : 노드에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 콘솔
--rpcaddr : HTTP RPC Server 호스트 (Default : localhost)
--rpcport : HTTP RPC 포트 (Default : 8545)
--rpcapi : RPC API 모듈 (eth, miner, admin, personal, web3 . . . .)
--bootnodes : 부트 노드에 연결할 enode 주소를 넣으면 자동으로 해당 Peer가 부트 노드와 연결됨 즉 테스트 넷을 구성할 때 여러 노드를 같은 네트워크에 참여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.
--password : 계정의 Password 파일
--etherbas : 이더 베이스 설정 마이닝 시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주소
--unlock : Account list 중 unlock을 시킬 계정의 index주소를 넣습니다. |
여기까지가 Geth를 실행할 때 명령과 옵션들입니다.
다음 포스팅에서는 Geth를 구동하고 Geth 명령어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Console로 실행도 해보겠습니다.
이상 카이조쿠BM 이였습니다.
'IT Study > Block Cha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thereum_05.Geth 환경 설정(Multi Node 만들기) (1) | 2019.05.14 |
---|---|
Ethereum_04.Geth 명령어 1편 (0) | 2019.04.26 |
Ethereum_02.Geth 환경 설정 (0) | 2019.04.26 |
Ethereum_01.Geth 설치 (0) | 2019.04.26 |